
[데브레터 코멘터리] 혼공머신(개정판) 뒷이야기 & 바이브 코딩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 저자 코멘트:『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개정판을 둘러 싼 뒷이야기
“작가님, 데브레터에 실을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개정판 코멘터리 좀 써 주세요~”
“네? @.@”
안녕하세요, 박해선입니다. 부디 이 이야기가 조금 흥미롭고 재미있기를 바라면서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부터 시작해서 개정판에 달라진 점을 주절 주절 읊어 보겠습니다.
“어쩌다 머신러닝 책을 쓰게 되었냐 하면요”
정말 우연입니다. 2014년, 퇴사 후 혼자 머신러닝 공부를 하기 시작했어요. 알파고와 이세돌 프로의 바둑 대국이 있었던 그때 온라인에 공개된 텐서플로 책을 번역해서 블로그에 올린 게 계기가 되었어요. 그다음부터 머신러닝 책을 한 권, 두 권 번역하다 보니 여기까지 왔네요.
“혼공머신 첫 출간 이후 시간이 많이 흘렀습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분야는 지각 변동에 가까운 일들이 많이 일어났죠. 2022년에 공개된 챗GPT는 그야말로 혁명이었습니다. 챗GPT와 같은 LLM이 점점 더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transformers 같은 라이브러리도 인기가 높아졌고, 이제는 언어 모델을 훈련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꼭 배워야 할 라이브러리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다행히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기본 아이디어와 개념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에 담긴 내용은 언제나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조금씩 독자들이 파이토치 책은 안내는지 LLM은 다루지 않는지 묻기 시작했어요. 자연스럽게 개정판을 내야 되겠구나 하고 마음을 먹게 되었습니다. 다시 쓰기 시작한 이유, 그리고 다음 이야기를 위하여
■ 데브심층탐구
-
- [정보] 바이브 코딩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7가지
개발 경력 30년 로보코의 수석 컨설턴트, 정도현 님이 보기에도 바이브 코딩의 등장만큼 충격적인 변화는 없다고 해. 최근 SNS를 보면 바이브 코딩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많아 보이는데, 정도현 수석 님의 시선으로 이 새로운 현상을 살펴볼까? 바이브 코딩은 AI로 개발하는 걸 말하는 건지, 소프트웨어 지식 없이도 가능한 건지, 그저 지나가는 유행에 불과한 건지 궁금하다면 전문을 읽어줘.
- [정보] 바이브 코딩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7가지
-
- [정보] Cursor 없으면 개발자 때려친다(Vibe Coding with Cursor)
오버하는 게 아니라 실제 사용해 본 개발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Cursor는 단순한 코드 추천 도구 이상의 기능을 제공한대. Copilot이 ‘이건 어떨까..?’하고 힌트를 주는 친구라면, Cursor는 ‘내가 다 해놨어. 바꿔볼래?’라고 하는 친구래. AI 친화적인 개발 방식은 발상 전환이 필요한데(가장 중요), ①AI에게 명확한 목적과 맥락을 전달하기 ②일단 내가 하고 부족한 부분만 도움 받겠단 생각하지 않기 ③첫 술에 판단하지 말고 여러 번 핑퐁하기(여러분은 완벽해요?) ④반복되는 패턴은 컨텍스트를 주고 그냥 맡기기 ⑤리팩토링은 처음부터 AI와 함께 구조 잡기 ⑥네가 얼마나 잘하겠냐는 듯 의심의 눈초리로 사용하지 않기! 처음엔 낯설겠지만, 기존 코딩 습관을 조금만 바꾸면 AI의 도움을 훨씬 강력하게 받을 수 있대. Cursor는 대체 왜 이렇게 강력한 걸까?
- [정보] Cursor 없으면 개발자 때려친다(Vibe Coding with Cursor)
-
- [정보] AI Agent와 개발자 – 카카오테크가 만난 GitHub의 CEO
GitHub의 CEO는 AI 시대의 개발자에게 필요한 새로운 역량 에 대해 언급했는데, 개발자가 Agent Mode와 같은 AI 도구를 사용할 때 ✓어떤 작업을 AI에게 맡기고 ✓어떤 작업을 직접 수행할지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거래.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오픈소스 활용할 때를 떠올리면 단번에 이해할 수 있을 거야. 특정 기능을 직접 구현할지, 아니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할지 선택하는 것처럼 AI 활용 여부도 비슷한 맥락에서 결정하면 된대.
- [정보] AI Agent와 개발자 – 카카오테크가 만난 GitHub의 CEO
-
- [칼럼] AI 때문에 개발자의 꿈을 접어야 할까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AI 때문에 오래 일한 개발자도 동요하게 되는데, 취업 준비 중이라면 마음이 더 괴롭지.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자극적인 소식은 대개 AI에 사활을 걸고 있는 회사로부터 나온다는 거야. 필요 이상으로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게 현직에는 AI는 커녕 레거시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느라 바쁜 개발자들도 많대. 믿기 어렵겠지만 이제야 jQuery에서 React로 넘어간다는 케이스도 있고, 아직도 Java 7를 쓰는 곳도 있다고 해. 개발자가 단순히 코딩만 하는 직업이 아니니까, AI 도구를 잘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면 될 거야. 혼란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말자구.
- [칼럼] AI 때문에 개발자의 꿈을 접어야 할까요
- [뉴스] 중국 AI 유니콘이 모델 개발 포기하고 ML옵스로 전환한 이유
창립 8개월 만에 프론티어급 모델로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이 모델 개발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한 건 매우 드문 사례야. 01.AI의 창립자인 이카이푸가 자체 LLM 개발을 중단한 이유를 밝혔어. 중국 모델은 글로벌 진출이 어렵기도 하고, 중국 내에서만 300여 개에 달하는 LLM이 쏟아지니까 경쟁이 어렵다고 본거지. 그러면서 비단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딥시크가 무료이기 때문에 챗GPT 구독을 취소한 사람을 많이 봤다”면서 “샘 알트먼에게 가장 큰 악몽은 경쟁자가 무료라는 점” 이라고 말했어.
■ 독자탐구생활
■ 데브주요뉴스
에디터 WD2_바빠도 꽃 구경은 놓치지 마세요
- 한빛미디어
-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2길 62
- 수신거부 Unsubscribe